tte[#pg_il_#

분류 없음/2008

1549 단 한 분만 늘 생각했던 다윗

LNCK 2008. 10. 23. 11:29
 

◈단 한 분만 늘 생각했던 다윗            삼상26:11         큐티 자료


 

*요셉이 총리가 된 후에, 과거에 형들의 비행을 기꺼이 용서할 수 있었던 것은

하나님이 히브리 민족을 구원하시려고, 자기를 애굽에 먼저 보내셨다는 창45:7 

하나님의 섭리를 이해했기 때문입니다.

<늘 하나님만 생각>했다는 것입니다.


*다윗이 사울왕을 피해 어렵게, 어렵게 다니는데,

하루는 사울이 깊이 잠든 곳까지 접근해 갔습니다.

아비새가 나서서, 사울을 단번에 창으로 찌르겠다고 말했습니다.

그러나 다윗은 <늘 하나님만 생각>했습니다.


내가 직접 손을 들어 여호와께서 기름 부은 사람을 해칠 수는 없소.

자, 사울의 머리 가까이에 있는 창과 물병을 집어 여기서 나갑시다. 삼상26:11


하나님이 세우신 사람을, 감히 자기 손으로 무너뜨리지 않겠다는 것입니다.

평소에 <늘 하나님만 생각>하지 않았더라면,

혹시 전 중앙정보부장 김재규 씨처럼 될 뻔 했습니다. (유족들께는 죄송합니다)


*그러다가 사울 왕이 블레셋과의 전투에서 전사했다는 소식이 들려왔습니다.

그러자 다윗은 즉시 큰 슬픔에 휩싸여 자기 옷을 찢었습니다. 삼하1:11


‘아니, 옷도 귀한 시절에, 그 아까운 옷을 왜 찢나?

더욱이 죽은 사람은, 원수 사울이 아닌가! 도리어 기뻐해야할 일 아닌가!’

우리는 다윗을 이해하기 어렵습니다.


열쇠는 이것입니다. 그는 <늘 하나님 한 분>만 생각했던 것입니다.

‘하나님이 기름 부으신 자가 죽었다’는 것입니다. 

다윗은 지금 하나님 편에서 생각하고 있습니다.

하나님이 직접 택하신 자가, 자기 사명을 잘 감당하지 못하고 죽을 때,

그 때 하나님의 슬픔을 표시하고 있습니다. 진실로 그는 그리스도의 예표였습니다.


다윗이, 사울의 왕관을 벗겨 온 아말렉 사람을 죽일 때 했던 말입니다.

다윗은 하나님 편에서, 그 사람을 심판하고 있습니다. 

너를 죽이는 사람에게는 책임이 없다. 왜냐하면 네 스스로가

‘내가 여호와께서 기름 부으신 사람을 죽였습니다’라고 말을 했기 때문이다. 삼하1:16

 

다윗 편에서 보면.. 어쩌면 ‘경사났네!' 할 것을

하나님 편에서 보았으므로.. 슬퍼하고, 옷을 찢고, ‘활노래’(애도詩)까지 지었습니다.

 

*하나님 편에서 생각하는 사람은, 사람을 의식하지 않습니다.

그러나 사울은 사람을 의식한 사람이었습니다. 삼상13:8 

 

저도 이런 칼럼을 편집해서 인터넷에 올릴 때, 자꾸 사람이 의식됩니다.

몇 명 보는지 궁금해 지기도 합니다. 그런 미숙한 마음, 오늘 아침에 내려놓기 원합니다.

섬김은 <오직 하나님 앞에서> 하는 것입니다. <편집자


“지구는 사람으로 가득 찬 무인도!”

‘고독’은 인간의 한계상황(절대 극복 못 한다)입니다.

만약 당신이 지금 '고독'을 느끼지 못한다면,

환경이 좋아서가 아니라, 뭔가 착각하고 있는 것입니다.

딴 데 정신 팔려 있는 것입니다.

 

원래 고독한 우리는

늘 <하나님 한 분만 생각>하면서 그것을 이기며 사는 것을

수 년 동안 훈련해서 자기 몸에 습관처럼 배이도록 해야 합니다.

(안 그러면 늙어서 억울해서 못 삽니다.)

 

“세상에는 그대 이름 지워져도,

하늘에는 그대 이름 남아있으리...” 


 

▲김용기 장로님의 고독

홍정길 목사님이 신학생 시절에, 신학교 친구들과 함께

한 번은 김용기 장로님 말씀을 듣고자

가나안 농군학교를 일부러 찾아가서 뵌 적이 있었습니다.


“장로님, 어려우셨을 때가 언제였습니까?”


“큰 아들은 군대 가 버리고,

둘째 아들은 이렇게 두더지처럼 땅만 파면서 사는 일을

평생 할 수 없다며 도망가 버리고

그처럼 말이 없던 아내마저도 하루는 이렇게 따지고 나왔습니다.


‘당신은 왜 이렇게만 하고 사는가?

땅을 개간하면 또 다른 사람에게 줘 버리고,

또 가장 조악한 땅을 골라서 농토로 만들고

우리가 무슨 두더지인가?

아들도 도망가 버리지 않았는가?’


그래서 너무 아프고 기가 막혀 하나님께 한 참 기도했습니다.


‘하나님 저를 농사꾼으로 불러 주셨습니다.

그런데 사랑하는 가족들도 저는 이해하지 못합니다.

하나님이 저를 여기로 부르셨기에, 제가 여기를 떠날 수는 없습니다.

제가 괭이질 하는 그 자리에서 제 목숨을 거두어 가 주시옵소서!’”


주께서 나를 향하신 부르심이 무엇입니까?

그 부르심의 길을 가는 것은... 고독한 길입니다.

그러나 자기를 부르신 그 길로 계속 가는 것은... 참으로 성공적인 인생입니다.


사람들이 부르는 길’로 달려가서는 안 됩니다.      (↔하나님)

‘남들이 알아주는 길’로 갈 필요도 없습니다.


우리는 ‘단 한 분의 청중’이신 그리스도만 생각하며,

사람들이 많든지/적든지

오직 그 길로만 달려가는 고독한 외길 인생입니다. <이 단락 설교 녹취



◑단 한 분의 청중   (클릭)

 

오늘 아침에 찾아서 다시 읽어보았습니다만, ↖

성령의 영감이 서린 매우 훌륭한 스크랩 글입니다.

그동안 까먹고 있었는데, 다시 한 번 이 기도제목으로 매일 기도하려고 합니다.



◑단 한 분의 청중   (번역 글)           요21:22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  -출처보기-


내가 올 때까지 그를 머물게 하고자 할찌라도 네게 무슨 상관이냐

너는 나를 따르라 하시더라 요21:22


몇 주간 동안 나는 뭔가에 무겁게 짓눌려 살고 있었다.

아무리 성경을 읽고 기도해도, 나는 그 눌림에서 쉽게 빠져나오지 못했다.

그러던 중 어느 날 밤, 내가 Os Guinness의 책을 읽던 중,

내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찾게 되었는데...


그의 책은 요한복음 21장을 설명하고 있었다.

‘네가 나를 사랑하느냐? 그러면 내 양을 먹이라’며

예수님은 베드로에게 사명을 주셨고,

특별히 ‘그(요한)가 너와 무슨 상관이냐?’며

<남의 사명에 신경 쓰지 말고, 오직 자기 사명에만 충실할 것을> 

책망조로 베드로에게 당부하셨다.


사실 내가 지난 몇 주간 눌려있었던 문제는, 바로 그 문제(비교, 질투)였다.

나이가 들다 보니, 내 친구들 중에, 어떤 이는 사업으로 크게 성공한 자도 있었고,

그 친구와 내가 비교되지 않을 수 없었다.

그 결과는 침울depression이었고, 그것은 지난 몇 주간이나 계속되었다.

성경읽기, 기도하기도 귀찮을 정도로, 내 마음이 어지러웠다.


그날 밤, 나는 예수님께 용서를 구했다.

그리고 내가 다시는 주변사람을 의식하지 않고,

<단 한 분의 청중Jesus만을> 의식하며 살기로... 나를 재헌신했다.



다음날 아침, 나는 컴퓨터를 켜서, 이메일로 배달되는 큐티자료를 읽어보았다.

나는 깜짝 놀랐다. 우연의 일치일까?

어제 밤 내가 재헌신했던 요21:22절 똑같은 말씀이

‘그 날의 큐티’로 내게 보내진 것이다. 

‘하나님, 알겠습니다. 어젯밤의 결단, 제가 꼭 기억하겠습니다!’

그런데 이게 끝이 아니었다.



그날 나는 친구와 점심을 함께 먹고, 운전 중에 차에서 라디오를 틀었는데,

마침 내가 어젯밤에 읽었던 책의 저자인 Os Guinness와 인터뷰를 방송하고 있었다.

우연의 일치일까?

 

욱이 그 대담에서 할 말이 여러 가지로 많았을 터인데,

특별히 인터뷰 내용이, 어젯밤에 내가 그의 책에서 읽은 그 내용,

즉 예수님이 베드로에게 ‘그와 네가 무슨 상관이야?’ 말씀하신 것을 다루고 있었다.

"Okay, God, I get the message!" (하나님, 다 알아들었다니까요!)



이 문제가 얼마나 심각하면

(사실이다. 나는 몇 주간 동안이나 헤매고 있었다.)

하나님은 연거푸 세 번이나 연속적으로 내게 말씀하신 것일까?

물론 우연의 일치일수도 있겠지만,

그런 우연의 일치가 매일 일어나지는 않는다는 것이다.


어쨌거나 나는 그날 이후로 다시금 내 마음에 굳게 결심하며

매일 기도하게 되었다.

‘그가 네게 무슨 상관이냐?’

‘나는 오직 <단 한 분의 청중>을 위해 살기로!’ (번역글)

 

  [주제별 분류] 크리스천의 삶

 

'분류 없음 > 2008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1553 네 장막터를 넓혀라  (0) 2008.10.25
1552 기도 응답 사례  (0) 2008.10.24
1548 환상을 보는 교회  (0) 2008.10.22
1547 ‘보이지 않는 교회’ 건축  (0) 2008.10.22
1545 능력 있는 삶의 비결  (0) 2008.10.21